각종 위원회

훈민정음출판추진위원회

세종대왕의 애민정신(의정부시 건강지원센터)

정춘미 | 조회 773

 

세종대왕의 애민정신

 

정춘미(의정부시 건강지원센터)

 

제 뜻을 능히 펴지 못하는 백성을 가엽게 여겨 쉽게 쓰고 익힐 수 있는 글자 만들어 백성이 편히 제 뜻을 표현하며 살 수 있게 하신 세종대왕의 그 깊고 거룩한 마음이 지금에 대한민국을 세계 으뜸으로 만든 발판이 되어 우리가 잘살고 있는지도 모른다. 알파벳은 26개 한글과 같은 소리 문자이고 조합도 쉽지만, a라도 위치에 따라 발음이 다르고 나라별로 음이 다른 단점이 있지만, 한글은 하나의 글자가 하나의 소리만 갖는다. 어휘 조합능력도 가장 다양하다. 세계적 언어학자들은 한글이 배우기 쉽고 과학적 이어서 세계 문자 중 가장 으뜸이라고 말한다. 지구상에서 독창적이고 진보적인 글자로 인정한다.

 

훈민정음은 음성 공학적 문자여서 세계 언어를 다 표현할 수 있다. 그 옛날 세종대왕이 만드신 훈민정음이 얼마나 과학적인가 하면 휴대전화로 문자를 보낼 때 한글은 5초면 가는데 중국이나 일본 문자는 35초 걸린다는 비교가 있다. 한글 입력 속도가 그만큼 빠른 덕분에 우리가 인터넷 강국이 됐다고 할 수 있다. 수백 년 후를 내다본 세종대왕이 얼마나 자랑스러운가. 이 자랑스러운 대왕 후예답게 대대손손 후손을 위해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세계자리에서 밀려나지 않게 열심히 일하며 성실하고 정직하게 세계 여러 민족에게 존경받는 그런 대한민국으로 거듭나길 빌어본다.

 

훈민정음 자음은 인체의 발음기관을 본뜬 것이고 훈민정음 모음은 천··인 삼재를 음양오행의 원리에 따라 배치해 만들었다는 것이 명백해졌다. 훈민정음 반포는 세종대왕의 뜻을 기리기 위한 기념일로 109일로 정해졌고 2005년 국경일로 승격하고 2013년 공휴일로 지키고 있다.

 

세종대왕의 능인 영릉은 경기도 여주에 자리 잡고 있다. 훈민정음 창제된 지 578년이고 올해 576돌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역사 인물로 세종대왕과 이순신 장군을 뽑는 이유 중 제일 첫째가 백성을 위한 애민정신 때문일 것이다.

 

훈민정음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 했다. 이 깊은 뜻을 생각해서 바르게 살아가는 대한민국 국민으로 우리 모두 힘을 합해 이 나라를 빛내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