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교육문화·건강치유 마을(특구) 조성(세계직지문화협회 이사장)
나기정 | 조회 476
세종 교육문화·건강치유 마을(특구) 조성
나기정(세계직지문화협회 이사장)
밝은 불빛도 장막에 가려지면 볼 수 없듯 충북 청주시 내수읍 초정리가 지니고 있는 역사 문화적 의미와 천연자원의 세계적 가치가 무관심의 두꺼운 장막에 가려진 채 오랜 세월 방치되어 왔다. 지역과 국가의 무관심, 행정과 정책의 외면으로 잃어버린 초정의 빛을 세계 속에 밝혀야 한다.
578년전 세종대왕이 이곳 초정리(당시 椒水里)에 행궁(行宮)을 짓고 두 차례 117일을 머물며 약수로 안질을 치료하였고, 조정 신료(臣僚)들과 집현전 학자들까지 반대한 훈민정음을, 오로지 백성의 어두운 눈을 밝혀주려는 일념으로 병마에 시달리며 마지막 산고(産苦)의 작업을 한 곳으로서 초정행궁은 인류 최고의 문자 ‘훈민정음’의 산실(産室)이다.
오늘날 우리 국민 모두가 문맹 없이 문명의 혜택을 누리며 IT산업의 강국을 이루고, 세계경제 10위권의 대열에 진입한 원동력도 훈민정음이 없었으면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고, 우리나라는 후진 문명의 나라에서 벗어나지 못하였을 것이다.
또한 초정광천수는 세계 3대 광천수의 하나로서 문화와 관광, 건강 의료산업의 무한한 개발 가능성을 지닌 천혜의 자원이다. 우리는 역사 문화와 자원의 가치를 외면했던 지난 날의 무관심과 무성의를 벗고 초정이 지닌 참 가치를 가꾸고 빛내어 미래를 밝게 기약하는 일을 시작해야 한다.
초정약수의 역사
ㅇ 조선왕조 실록
- 세종실록 : 세종26년(1444) 세종대왕 두차례 안질 치료차 행차
- 세조실록 : 세조10년(1464) 세조왕 2일간 머무름
ㅇ 초정약수 문헌 : 동국여지승람(1481), 지붕유설(1614년), 청주읍지 등에 초수와 세종대왕 행차에 관해 기록
ㅇ 1912년 일제 중앙철도회사 : 청량음료 제조 시설, 오늘의 ㈜일화와 연결
ㅇ 1912년(일제 대정 1년) 토지대장 : 초정리 일대 논, 밭, 임야 창덕궁 소유로 등기, 일부 동양척식 등기
ㅇ 1921년 세계광천학회 : “동양의 신비한 물”로 세계 3대 광천수로 인정
* 세계 3대 광천(鑛泉) : 한국 초정 광천, 미국 캘리포니아 샤스타(Shasta) , 독일 아폴리나리스(Apollinaris) 광천
ㅇ 1980년 10월 미국 식품의약관리국(FDA) 효능검사 인정 – ㈜일화 검사 의뢰
나. 세종대와의 초정 행차와 훈민정음 창제
ㅇ 세종대왕의 초정 행차 :
1차 세종26년(1444) 3월 2일 ~ 4월 30일 (58일간)
2차 같은 해 윤7월 15일 ~ 9월 14일 (59일간)
ㅇ 행차 사유
- 세종대왕은 민본애민(民本愛民) 정신이 투철하여 항상 정사(政事)에 골몰하여 건강상 문제 발생
- 훈민정음 창제를 비롯한 학문, 예술, 국정제도 개선, 과학기술, 천문지리, 국방, 외교 등 쉴 사이 없는 일로 과로, 안질과 소갈병으로 고생. 신료들의 적극적 권유로 거둥.
ㅇ 훈민정음 창제와 초정
- 『세종실록 』 세종 14년 11월 7일
“이조판서 허조가 아뢰기를 ‘간악한 백성이 진실로 율문(律文, 법조문)을 알게 되오면 죄의 크고 작은것을 헤아려서 두려워하고 꺼리는 바가 없이, 법을 제 마음대로 농간하는 무리가 이로부터 일어날 것입니다.’하므로 임금이 말하기를 ‘그렇다면 백성으로 하여금 알지 못하고 죄를 범하게 하는 것이 옳겠느냐, 백성에게 법을 알지 못하게 하고, 그 범법한 자를 벌주게 되면 조삼모사(朝三暮四)의 술책에 가깝지 않겠는가’.”
『집현전 부제학 최만리 등의 상소 』에서
“우리 조선을 조종(朝宗)때부터 지성스럽게 대국(大國, 중국)을 섬기어 중화(中華)의 제도를 준행(遵行)하였는데 … 언문을 창작하심을 비난하여 중국에 말하는 자가 있사오면 어찌 대국을 섬기고 중화를 사모하는 데에 부끄러움이 없으 오리까” “ 그 언문이란 국가의 위급한 사항이나 부득이 기한을 정해놓은 것도 아닌데 어찌 홀로 휴양소에서까지 몰두하시어 옥체를 조섭(몸을 보살핌) 하실 때 번거롭게 하시니, 신 등은 그 옳은 바를 찾아 볼 수가 없나이다.”
박종화 저, 『세종대왕 』 제 12권 훈민정음에서
‘소헌왕후는 “전하! 너무 과하십니다. 병환을 치료하러 이곳까지 내려오신 전하께서 잠시 동안 참지 못 하십니까? … 며칠 동안만 평안히 누워 계십시오.” … 전하는 이렇게 하여 눈병을 않으면서 닿소리, 초성 열 일곱 자를 완성했다.’
ㅇ 초정리가 지닌 역사·문화적 의미
- 세종대왕의 혼과 정신이 깃든 곳
- 훈민정음이 태어난 역사를 가르쳐 주는 곳
- 국민을 위한 지도자의 참 모습을 체감할 수 있는 곳
- 정치·경제·외교적 임시수도의 기능(예)
· 토지의 등급을 결정하는 안건 논의 검토
· 대마도주 정종성이 보낸 정태랑 접견, 위로토록 지시 등
다. 세종 교육문화·건강치유 특구(마을) 조성
ㅇ 기본방향
- 세종대왕이 초정리 행차에서 보여준 진정한 지도자의 자세와 교훈을 역사의 현장에 되살려 국민교육장으로 만든다.
- 훈민정의의 창제이념을 세계화할 『훈민정음 기념탑』을 건립하고, 『세계문자공원』을 조성한다.
- 세계 3대 광천의 하나인 초정약수를 웰빙산업과 관광자원으로 개발한다.
(1) 세종대왕 행궁 복원 (2020년 정부 및 지방예산으로 준공됨)
(2) 『훈민정음 기념탑』 건립 : 전통 한옥 기법으로 세계 최고문자의 상징물 건축, 훈민정음과 세계 문자 관련 자료의 전시
(3) 『세계문자공원』조성 : 세계의 모든 문자를 원형 및 예술 작품화하여 전시 – 서예 전각 조소 공예 조각 등 아름답고 교육적인 문자공원을 조성 (현재 자료확보 – 세계문자 서예작품 2,000여점, 훈민정음 11,172자를 대리석에 각자 완료)
(4) 훈민정음 교육기관 설립 : 훈민정음 대학원 대학교 추진중 – 국내외 훈민정음 전문교육자 양성
(5) 세계 문자 비엔날레 추진 : 세계문자 상호교류, 문자와 문화의 소통
(6) 훈민정음의 세계화 : 해외 한인 네트워크 및 국내외 다원적 활동 추진
(7) 역사문화 체험마을 조성 : 전통 세시(歲時)풍속 - 24절기 음식과 놀이, 공예화 서예 체험, 주변의 역사 문화 자원 연계(의암 손병희 생가, 단재 신채호 사당, 운보 김기창 미술관, 구라산성)
(8) 건강과 치유사업 : 초정 광천수의 고부가가치 산업화(기능성 제품 개발, 맞춤형 케어시스템 개발), 조정광천수의 브랜드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