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위원회

훈민정음출판추진위원회

훈민정음의 궁합(宮合)을 아시나요?(훈민정음교육원장)

강구인 | 조회 479

 

훈민정음의 궁합(宮合)을 아시나요?

 

碧昌來 강구인(훈민정음교육원장)

 

()와 ㅋ(), ()와 ㅌ(), ()와 ㅊ(), ()와 ㅎ()의 궁합을 아시나요?

우선 ㄱ, , , , , , ㆆ 및 ㅎ의 발음을 괄호 안에 표기한 대로 하는 이유는 훈민정음 본문이나 언해본의 본문을 읽기 위해서는 괄호와 같이 발음해야 문맥이 이어지기 때문인데, 훈민정음 창제 당시엔 ㄱ(기역其役), (디귿池末) 등의 명칭이 사용되지 않았다. 각설하고, 훈민정음 낱자의 궁합이란 말에 뜬금없어하는 분들이 많을 것이다. 이유를 설명해 보겠다.

 

천지자연의 이치는 오직 하나 음양오행뿐이다. 곤괘와 복괘의 사이가 태극이 되고 움직이고 멎고 한 뒤에 음양이 된다. 무릇 천지자연에 살아 있는 것들이 음양을 버리고 어디로 가겠는가? 그러므로 사람의 성음도 모두 음양의 이치가 있는 것인데, 생각해보니 사람들이 살피지 못했을 뿐이다. 이제 정음이 만들어지게 된 것도 애초부터 지혜를 굴리고 힘들여 찾은 것이 아니고, 단지 성음의 이치를 끝까지 연구한 것이다. 이치가 이미 둘이 아닌데, 어찌 천지자연이 음양의 신령과 함께 정음을 쓰지 않겠는가? 정음 28자는 각각 그 모양을 본떠 만들었다. 첫소리는 모두 17자다. 어금닛소리 ㄱ는 혀뿌리가 목을 막는 모양이다. (하략)훈민정음 제자해 시작 부분이다.

 

고귀하고 오묘한 훈민정음을 창제하면서 해설 첫 부분에 음양오행이라는, 현대인들에게는 미신으로 치부되는, 논리가 굳이 등장한다. 그렇다 훈민정음은 민간에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자연의 이치인 음양오행이라는 원리를 원용(援用)해 창제하였기 때문이다. ··ㆁ 어금닛소리를 계절로는 봄, 방위로는 동쪽, 음양으로는 양, 오상(五常)으로는 인(), 오행으로는 목()의 원리라고 해설했으며, 마찬가지로 ㄷ···ㄹ 혓소리·여름·남쪽··(()이고, ··ㅁ 입술소리·각 계절의 끝자락·중앙·(()이며, ···ㅿ 잇소리·가을·서쪽··(()이고, ··ㅎ 목구멍소리·겨울·북쪽··(()라고 하였다. 해설에 음양과 목()()()()() 오행 순서를 정확히 원용하고 있다. 훈민정음은 인위적 산물이 아니요, 천지자연의 원리와 상()에 따라 만든 인간 윤리적인 글이니 이유를 달지 말자는 뜻이겠다.

 

이 유일무이한 훈민정음에 가획으로 다른 글자(: ㄱ에 ㅡ획을 더하면 ㅋ)를 추가해 나가는 원리에 탄복한 영국 서섹스 대학의 샘슨(Geoffrey Sampson) 교수는 저술 문자체계(Writing Systems) 1985에서 훈민정음(한글)은 음소문자와 구분되는 자질문자체계(featural writing system)라 하며 지구상의 가장 정밀한 언어라고 극찬하고 있다.

 

필자는 샘슨 교수가 세계적으로 훈민정음의 위치를 고양해준 것을 고무하면서, 한 가지 더 깊은 훈민정음의 궁합 문제를 제시한다. 우리는 흔히 남녀(음양)간 관계를 살필 때 궁합이란 말을 쓴다. 미신이라 치부하면서도 무시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자질문자 체계라는 것이 엄밀히 따지자면 천지자연의 음양 조합 글의 다른 말이라 하고 싶다. ㅋ는 양()의 글자인 ㄱ에 천지인(天地人) 중 음()이며 땅을 지사(指事)한 ㅡ를 합하여 음양합을 이루고, ·ㅌ는 양()의 글자인 ㄴ·ㄷ에 마찬가지로 ㅡ를 합하여 음양합을 이룬다. ·ㅎ는 음의 글자인 ㅈ·ㆆ에 천지인 중 양이며 하늘을 지사한 를 합하여 음양합을 이룬다. 이 기본적인 뜻을 모르는 한글세대에서는 ㅊ·ㅎ자의 윗부분 가획에 도 쓰고 ㅡ도 쓰는데 위의 이유도 모르고 쓴다. 앞으로는 꼭 를 써야 할 것이다. 훈민정음(한글)의 궁합을 위해서, 위에 설명한 내용들을 이해하기 쉽게, 참고로 음양오행에 근거한 필자의 저작물인 하늘 땅 사람 훈민정음에 표시한 제자해도와 한글의 음양합 도식을 게재한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제자해도사각원도.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03pixel, 세로 611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초성자음양조합.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31pixel, 세로 343pixel

 

국제적으로 각 분야에서 한국의 위상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그 매체로 훈민정음(한글)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자타가 말한다. 이에 때늦은 감이 없지 않지만 훈민정음 기념사업회의 각가지 일들이 순조로움에 경하를 보내며, 훈민정음의 궁합처럼 대한민국과 훈정회의 궁합이 찰떡궁합이기를 기대해 본다.